광고
광고

아산시, 균형발전사업 우수사례 ‘대통령상’

아산 송악마을공간 해유, 균형발전 성공 노하우 전국에 확산
충남도, 산업부장관상·지방시대위원장상 수상

이대성 기자 | 기사입력 2023/11/15 [09:03]

아산시, 균형발전사업 우수사례 ‘대통령상’

아산 송악마을공간 해유, 균형발전 성공 노하우 전국에 확산
충남도, 산업부장관상·지방시대위원장상 수상

이대성 기자 | 입력 : 2023/11/15 [09:03]

▲ 14일 충남 아산 모나밸리에서 열린 2023년 균형발전사업 우수사례 시상식에서 박경귀 아산시장(오른쪽)이 대통령상 수상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아산시  © 아산투데이

 

 아산시(시장 박경귀)가 14일 아산 모나밸리 아레나홀에서 열린 ‘2023년 균형발전사업 우수사례 시상식’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주관한 이날 시상식에는 김태흠 충남도지사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박경귀 아산시장, 행정안전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관계 공무원 및 기관·단체장, 수상자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시는 지난 8월 우수등급을 받은 지방정부 중 최고 우수성을 인정받아 대통령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앞서 지난 8월 시는 전국 시도 및 시군구가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로 지원받은 포괄보조사업(359개 사업, 2.1조 원)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 등급(우수-보통-미흡순)을 받은 바 있다.

 

‘대통령상’의 영광을 안겨 준 우수사례는 ‘사랑해유 함께해유 송악마을공간 해유’다.

 

송악면은 인구 소멸 위기에 처해 있던 여러 농촌 지역 중 하나였지만 2016년 주민 주도로 사회적협동조합 ‘송악동네사람들’이 창립되면서 ‘교육 특화 마을’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주민들은 ‘송악마을공간 해유’에서 남녀노소 참여할 수 있는 인문·예술·문화 강좌를 직접 기획하고, 이웃 홀몸노인과 결손 가정 아이를 돌보는 돌봄 사업을 진행하는 등 마을 공동체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올해 기준 송악면 인구는 4189명. 13년 전보다 34% 늘어난 숫자다. 주민 평균 연령 역시 43세로,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타 농촌 지역과는 다른 양상을 띄고 있다.

 

‘해유’를 중심으로 한 마을 공동체 강화와 풀뿌리 주민참여 교육으로 ‘아이 키우기 좋은 동네’라는 입소문이 난 덕분이다.

 

박 시장은 “송악마을공간 ‘해유’는 주민들의 자발적인 역량 강화, 헌신적인 봉사 덕분에 성공할 수 있었다”면서 “내 지역에 대한 애정에서 출발해 지역소멸 위기를 타파하고 국가 균형 발전의 초석을 닦아주신 송악면 주민 여러분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인사했다.

 

이어 “오늘 공유된 우수사례만 봐도 주민참여와 자치로 성과를 꽃피우는 지방정부의 역량은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방정부의 역량을 믿고 국가 균형발전의 주도권(initiative)을 지방정부에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송악면의 사례가 아산 발전을 넘어 전국 농촌 마을에 활력을 불어넣는 우수 사례로 공유되길 기대하며, 오늘 아산의 성과가 대한민국 균형 발전에 소중한 반석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 14일 충남 아산 모나밸리에서 열린 2023년 균형발전사업 우수사례 시상식 기념촬영  /사진=충남도  © 아산투데이

 

이날 시상식에선 충남도를 포함한 32개 기관 및 63명이 표창을 받았다.

 

도 문화정책과는 ‘폐산업시설 등 유휴공간 문화재생사업’ 중 ‘예술과 문화 이야기, 연산문화창고’ 사업이 지역 활성화 유형에서 산업부장관상을 받았다.

 

논산시 연산면 소재 유휴공간을 문화예술로 재창조해 미관 저해 요인을 해소하고 주변 관광자원과 연계해 관광 자원화함으로써 관광 활성화 및 지역주민 문화예술 향유 확대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도 해양정책과는 ‘해양 및 수자원 관리사업’ 중 ‘깨끗한 해양환경 만들기’ 정책이 지역 역량 강화 유형에서 지방시대위원장상을 수상했다.

 

해양쓰레기 고도화 관리 정책인 이 사업은 해양쓰레기 관리 주기를 발생 예방, 수거·보관, 운반 처리의 3단계로 구분, 체계적으로 관리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효과적인 기술 활용 및 주민 참여 확대, 민관 협력 강화 등을 통해 해양 환경을 보호하고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한 점도 호평을 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김 지사는 “어디든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만드는 것이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라며 “행정과 교육, 재정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하고 수도권에 있는 대기업과 대학을 지방으로 이전할 수 있는 청사진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메가시티에 대한 행정·교육·재정 등 획기적 우선 이전 지원 ▲수도권 공공기관, 대기업, 대학의 우선 이전 지원 ▲국립 지방의대 신설과 의대 정원 확대 시 우선 할당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도로·철도 국가계획 반영 등 충청권 4개 시도의 4대 안건에 대한 국가의 지원을 거듭 요청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