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시 ‘무기발광 DP 스마트모듈러센터’ 예타 대상지 선정산업부 공모 선정…예타 통과시 탕정테크노산단에 9500억원 투입
충남도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무기발광 디스플레이(DP) 스마트모듈러센터’ 구축 사업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지에 아산시가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무기발광 DP는 산소와 수분에 취약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단점을 보완하고, 태양광 환경에서도 높은 신뢰성과 고휘도 및 장수명을 구현해 기존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한계를 뛰어넘는 나노 크기의 세계 최고 신기술이다.
산업부는 2025년부터 2032년까지 기술개발 7905억원, 기반시설 1595억원 등 총 9500억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이는 DP산업 분야 역대 최대 규모다. 총사업비 중 국비 규모는 7431억원에 달한다.
예타 통과 시 사업 대상지인 아산 탕정테크노일반산업단지에는 무기발광 DP 기술개발 등을 위한 기반시설이 조성된다.
구체적으로, 도는 아산시와 한국광기술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충남테크노파크, 디스플레이산업협회와 협업해 아산 탕정테크노일반산단 내 6400㎡(1936평) 부지에 건축면적 4000㎡(클린룸 3000㎡, 기술지원동 1000㎡) 규모로 ‘무기발광 DP 스마트모듈러센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센터 구축 사업비는 1595억원(국비 1106억, 지방비 489억)이다.
센터는 무기발광 DP 핵심기술 개발 지원과 공정 전반에 걸쳐 기업이 자유롭게 시험할 수 있는 실증시설로, 60종의 실증장비를 구축해 ▲화소제조 기술(25개) ▲패널제조 기술(27개) ▲모듈제조 기술 개발(25개) 3개 분야 77개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운영방향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연접한 탕정테크노일반산단을 중심으로 무기발광 DP 핵심기술·핵심제품 확보 및 자립공급망을 구축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주도하는 내용을 담았다.
핵심기술은 초소형·고효율 화소기술, 고속 패널형성기술, 초대형 모듈러 DP 제조기술 등 디스플레이 신시장 선점을 위한 3대 초격차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도는 확보한 초격차기술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시장점유율 70% 이상을 달성해 신시장 창출을 선도하고, 무기발광 DP 공정 내 75% 이상 자립화를 추진해 세계 최대의 DP 산업메카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4000명 넘는 지역 일자리와 3조 6000억원에 달하는 생산유발 효과는 물론 ▲무기발광 DP 원천기술 및 패널 생산 기술력 확보 ▲가격 경쟁력·시장지배력 강화 ▲소부장 국산화율 향상 및 글로벌 소부장 기업육성 ▲혁신적 기술 창업 및 신규 기업·기관 집적화 등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부는 이달 중 과기부에 예타조사 대상사업 신청 절차를 밟고 있으며, 도는 예타 기술성 평가와 본예타 심의를 거쳐 내년 하반기 예타 통과를 목표로 역량을 결집해 나갈 계획이다.
유재룡 도 산업경제실장은 이날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무기발광 DP는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기 위한 초격차 기술 및 경쟁력·생산성 확보라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현재 건설중인 혁신공정센터와 결합된 DP 분야 국내 최고·최대 기반시설을 조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산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