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대통령 선거 열기로 뜨겁던 올해 3월 ‘중부권 거점 재난전문 국립경찰병원’ 설립이 대선 공약으로 등장했고 선거 뒤인 4월 29일 충남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대통령직 인수위(지역균형발전특위) 충청남도 국민보고회’에서도 ‘아산시에 재난전문 거점병원 설립’을 공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병원 추진 주체인 경찰청은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에 병원부지 공모를 발표해 아산까지 19개 지역에서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10월 28일 서류 평가로 3개 지역을 선정한 뒤 현지 실사 등을 거쳐 다음 달 최종 후보지를 발표한다.
아산시가 충남도를 거쳐 경찰청 ‘경찰병원 부지평가위원회’에 보낸 신청서에 어떤 내용이 담겼는지 알 수는 없지만 아산을 제외한 다른 18개 지자체에서 경찰병원 유치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는 언론이나 그 지역 지인들을 통해 어렴풋이 알고 있다.
어느 지역은 한참 전부터 ‘범시민 추진단’을 결성하고 또 어느 곳은 몇 만인 서명운동이 한창이다. 지역 언론만이 아닌 중앙 언론사에까지 홍보전을 펼치면서 지자체장 외에도 지역의 여러 주민들이 자기 고장의 장점을 내세우고 심지어 광역 시·도 차원에서도 전문가 그룹을 투입해 지원전을 펼치며 병원 부지 구입, 병원 직원들을 위한 편의시설, 재활과 힐링 공간을 위한 거액의 투자를 약속한 지자체도 여럿이다.
그렇다면 우한 교민의 아산을 방문을 기점으로 경찰병원 아산 유치가 탄력 받기 시작한 2020년 2월부터 지금까지 2년 8개월여 동안 아산시와 충청남도는 어떤 노력들을 하고 있는가?
경찰병원은 지역 이슈에서도 밀려 난지 오래다. 1차 평가가 채 일주일도 남지 않았는데 그 흔한 플래카드도 최근에서야 일부 보인다. 서명운동이나 단체 행동을 주도 할 추진단도 없다. 아산시의회의 ‘유치추진 결의안’도 지난 10월 11일에서야 채택됐다. 언론 홍보 역시 다른 경쟁 지자체의 보도가 압도적이다.
아산은 경찰타운을 통한 경찰관 이용 편의와 경찰청 소유인 국가부지 활용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바로 경찰에서 이미 구축해 놓은 기존 시스템이 없다면 다른 지자체와의 차별성이 없다는 애기다. 아산시의 ‘유치 신청서’에 대통령 공약과 경찰 부지 이용 이외에 아산을 선택 할 만한 어떤 요인이 담겼을까? 1차 평가에서 16개 지역이 탈락한다. 아산이 포함되지 않으리란 근거가 무엇인가?
다른 18개 지자체처럼 맨 바닥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미 늦었더라도 경찰청이나 중앙부처에 아산만의 장점을 전달하고 추가 시설 투자를 약속해야 한다.
아산, 더 나가 충남도민 전체에게 이 현실을 알려 2020년 우한교민 방문 때부터 품어온 종합병원 유치가 실현 될 수 있도록 마을회관이건, 식당이건 충남도민이라면 누구든 경찰병원에 관해 논의하고 그 당위성을 스스로 다져가야 한다. 현실을 직시하고 절박하게 단합해야 만약 실패한다 해도 한 목소리로 그 부당함에 저항 할 수 있다.
초사동의 경찰부지 이용을 당연시해서도 않된다. 경찰 역시 대승적차원에서 협조해야 한다는 당위가 만병통치약이 될 수는 없다.
‘경찰병원 부지평가위원회’는 경찰청 주관이다. 공시지가 160억원이 넘는 토지를 제공하는 경찰측과의 협의가 더더욱 긴밀해야하는 이유다.
이제 대통령 공약이란 덫에서 빠져나와야 한다. 약속을 지키지 않은 것은 그것대로 따로 따져야 한다. 국가 기관 유치가 얼마나 어려운지 아산은 물론 230만 충남도민 모두가 다시 생각해야 한다.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 <저작권자 ⓒ 아산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