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산단 관리소장 정치권 보은성 자리 전락지방의원 가족, 정책특보, 선거캠프 출신 등 단체장 측근 인사 줄줄이
아산지역 산업단지 관리소장 자리에 지방자치단체장 측근으로 분류되는 인사들이 줄줄이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 고위 공무원의 재취업 전유물로 전락했다는 비판에 이어 전문성과 무관한 정치권 보은성·낙하산 인사 자리로 변질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산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관리소장 자리가 있는 아산지역 산단은 총 5곳. 이 중 3곳의 관리소장은 박경귀 아산시장과 가까운 인사가 맡고 있다.
지난 7월 임기를 시작한 아산디스플레이시티(DC1)일반산단 관리소장 A씨는 박 시장과 같은 당 아산시의회의원의 부친이다. 해당 산단 입주기업체협의회 정관상 관리소장은 시장 추천으로 총회 승인을 받아 회장이 임명하는 것으로 돼 있다.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총회 승인으로 1년 유임할 수 있다. 단, A씨는 1년만 관리소장을 맡기로 했다.
아산테크노밸리일반산단 관리소장 자리는 박 시장 정책특별보좌관인 B씨가 꿰찼다. 지난 3월 임명된 B씨는 2025년 2월 말까지 임기를 수행한다. 충남도·아산시의원을 지낸 B씨는 민선 8기 아산시장직 인수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했고, 박 시장의 주요 재판 일정마다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올해 초 도고농공단지 관리소장으로 임명된 C씨는 박 시장 선거 캠프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민선 8기 아산시장직 인수위 실무위원도 맡았다. 당시 100명 이상이었던 자문위원과 달리 실무위원은 단 15명뿐이었다. 그는 2024년 말까지 관리소장으로 활동한다.
이밖에 득산농공단지 관리소장의 경우 시장의 동의를 받아 임명하는 것으로 시 농공단지 관리 조례에 명시돼 있다. 현재는 퇴직 공무원이 맡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고위 공직자가 독차지했던 관례가 깨진 것은 긍정적이지만 지자체장 측근 등을 위한 보은성 자리로 전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직무에 맞는 전문성을 갖춘 인사를 채용할 수 있도록 내부정관이나 공모 절차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산단 관리소장은 입주기업 민원 해결 등 행정기관과 가교 역할을 수행하는 자리다. 정년이 얼마 남지 않은 고위 공무원들이 명예퇴직 후 2년 임기를 보장받았지만, 2016년 정치권 인사가 아산DC1일반산단 관리소장에 진출하면서 관례가 깨진 바 있다. <저작권자 ⓒ 아산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